목록전체 글 (57)
기술은 감각이다, 밀론 블로그

반도체 8대 공정 순서1. 실리콘 웨이퍼 제조 공정2. 산화공정(Oxidation)3. 포토공정(Photo)4. 식각공정(Etching)5. 증착공정(Deposition) - 확산(Deposition) - 이온주입(Ion implantation) 6. 금속배선공정(Metalliztion)7. EDS 공정(Electrical Die Sorting)8. 패키지공정(Package)목차9.1 개요9.2 표면 유기물 세척9.3 RCA Cleaning 9.4 습식 화학 세정시 고려사항 9.5 건식 세정 (Dry Cleaning)9.6 Vapor Phase Cleaning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웨이퍼 표면의 청정도는 제품의 성능과 수율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미세 공정이 진행될수록 표면에 남아 있..

처음 오픽 공부하던 작년 5월 말 대학 기말 시험 이후 4학년 1학기 방학.처음엔 토익을 준비했으나 삼성전자 공채 신청 기본 조건이 오픽 IL이었기에 오픽으로 전향했습니다. 첫 오픽 공부아무런 토대 없이 공부했기에 경험 쌓아 본다는 느낌으로 시험을 친 결과 IL이 떴습니다. 삼성전자 공채 기본 조건은 IL이었기에 좋은 결과였죠. 하지만 저는 IH이상을 목표로 잡았기에, 그리고 대학 졸업 요건이 IM2였기에 더 공부하기로 했습니다. 그렇게 몇 달을 공부했습니다.시험을 쳤으나 번번이 IM1으로 실패했죠. 이때 제 영어실력은 i go home 이 정도 수준이었습니다.처참했죠. 그래서 스크립트를 외우기로 했습니다. 유튜브에서 IH~AL 답변 들과 강의를 참고하며 공부했습니다.단어, 문장을 외울 수 있는 좋은 방..

포스팅 안 한지 엄청 오래됐습니다.거의 2달 만이네요. 블로그 운영을 잠시 멈춘 이유가 있습니다! 다양한 일을 하고 있었죠.취준, 영어공부, 코딩, 취미 등등... 그. 러. 나! 오늘 돌아왔습니다. 블로그 자동화하는 프로그램 제작이라는 개인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해보고자 했습니다. 사실 이미 몇 주전부터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이제 그 리뷰를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앞으로 영어 공부에 대한 글도 쓸 겁니다. 사실 이게 제일 힘들었습니다...블로그 자동화시키기라는 프로젝트는 재밌었는데 말이죠...아래는 최근에 작성하기 시작한 위 프로젝트의 개발일지입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거의 모든 과정을 gpt chat과 함께했습니다. # 개발일지### 날짜: 2024-12-31### 오늘의 목표- [O] ..

반도체 8대 공정 순서1. 실리콘 웨이퍼 제조 공정2. 산화공정(Oxidation)3. 포토공정(Photo)4. 식각공정(Etching)5. 증착공정(Deposition) - 확산(Deposition) - 이온주입(Ion implantation) 6. 금속배선공정(Metalliztion)7. EDS 공정(Electrical Die Sorting)8. 패키지공정(Package) 목차9.1 개요9.2 결함9.3 Clean room의 청정도 단위9.4 습식 화학세정9.5 불순물반도체는 현대 전자 산업의 핵심으로, 스마트폰부터 컴퓨터, 자동차, IoT 기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고성능 반도체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기판인 웨이퍼의 표면이 얼마나 깨끗하게 유지되..

반도체 8대 공정 순서1. 실리콘 웨이퍼 제조 공정2. 산화공정(Oxidation)3. 포토공정(Photo)4. 식각공정(Etching)5. 증착공정(Deposition) - 확산(Deposition) - 이온주입(Ion implantation) 6. 금속배선공정(Metalliztion)7. EDS 공정(Electrical Die Sorting)8. 패키지공정(Package) 3.4. 산화막 전하 분포산화막 내에서는 여러 가지 종류의 성질을 가진 전하가 분포합니다.Mobile ionic charge(이동 이온 전하, Q_m)Oxide trapped charge(산화막 포획전하, Q_ot)Fixed oxide charge(고정산화전하, Q_f)interface trapped charge(계..

2024.7.12~2024.08.19신청 이유공정 결과 데이터 분석, 공정 설계, 기술 개념 이 세가지 요소의 경험이 필요했습니다. 강의 내용주 내용은 수율을 개선하기 위한 공정 개선.공정 개선을 위한 결과 데이터 분석이었습니다. 엑셀을 주로 이용해 데이터를 table화 시켜 경향을 파악했습니다. 느낀 점약 1달 동안의 긴 기간 동안 교육을 수강하면서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주요 키워드는 반도체의 공정설계와 공정기술의 차이점과 수율 개선 방법입니다. 공정 엔지니어의 일을 간접적으로 파악가능한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