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기술은 감각이다, 밀론 블로그

[반도체공정] feat.jaeger, Wafer Chapter 9.6) RCA 세정법 본문

반도체/[공정 1] 웨이퍼(wafer) 제조

[반도체공정] feat.jaeger, Wafer Chapter 9.6) RCA 세정법

milron 2025. 3. 18. 11:24
반응형

반도체 8대 공정 순서

1. 실리콘 웨이퍼 제조 공정
2. 산화공정(Oxidation)
3. 포토공정(Photo)
4. 식각공정(Etching)
5. 증착공정(Deposition)
     - 확산(Deposition)
     - 이온주입(Ion implantation) 
6. 금속배선공정(Metalliztion)
7. EDS 공정(Electrical Die Sorting)
8. 패키지공정(Package)

목차

9.1 개요
9.2 표면 유기물 세척
9.3 RCA Cleaning 
9.4 습식 화학 세정시 고려사항
9.5 건식 세정 (Dry Cleaning)
9.6 Vapor Phase Cleaning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웨이퍼 표면의 청정도는 제품의 성능과 수율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미세 공정이 진행될수록 표면에 남아 있는 유기물, 금속 이온, 입자 등의 오염은 소자의 불량이나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대표적인 웨이퍼의 습식 화학 세정 방법인 유기용매 세정RCA 클리닝(SC1, SC2) 공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9.1 개요


 

지금은 없는 RCA (radio coporation of america) 회사의 표면 물리학자 kern, Puotionen 이

표면 물리학 관점의 표준 세정법을 연구하여 고안되었습니다.

 

이 세정법은 거의 모든 실험실 혹은 회사에 이 RCA cleaning 법을 기초로 바탕되어 변형 및 사용됩니다.

 

이 공법은 표면 유기물 세척 후 적용됩니다.

 

따라서 크게 다음으로 정리가 가능합니다.

표면 유기물 세척 → RCA Cleaning


9.2 표면 유기물 세척


순서

TCE(3 min boil) → Acetone(3 min boil) → Methyl alcohol(3 min boil) → DI water rinse

 

 

TCE : 트라이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 TCE, Acetone(아세톤), Methyl alcohol(메탄올)을 순차적으로 끓이면서(boil) 웨이퍼 표면에 붙은 유기 오염물을 제거합니다.
  • 각 용액에서 약 3 min(분) 정도 끓이는 공정 후, 마지막에 DI(탈이온수) water로 헹굼(rinse)을 진행해 잔류 용매를 제거합니다.

*DI water(deionized water) : 탈이온수, 이온을 제거한 반도체 공정용 순수수

 

주의사항

  • 끓이는 과정(boil cleaning)을 통해 세정 효과를 높이지만, 용매 증기가 발생하므로 환기와 안전에 유의해야 합니다.
  • 고농도 유기용매 취급 시 방폭 시설, 보호장비(보안경, 장갑 등) 착용이 필수입니다.

 

9.3 RCA Cleaning


RCA 클리닝은 웨이퍼 표면의 오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고안된 표준 세정 공정입니다. 주로 SC1SC2의 두 단계로 구성되며, 각각 다른 종류의 오염을 제거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단계가 끝나면 항상 DI water로 rinse 해주어야 합니다.


RCA SC1(RCA standard cleaning 1) : 잔류 유기물 & 이온성 오염물을 제거하는 단계

RCA SC1 조성

용액 조성:

  • NH₄OH(암모니아수, 29 wt%) : H₂O₂(과산화수소, 30 wt%) : DI water = 1 : 1 : 5 (부피비)
  • 온도는 약 70℃로 가열, 약 5분간 끓임(boil) 처리 후 DI water로 헹굼

유의사항

  • 강한 산화제인 만큼  H₂O₂은 유기물의 산화, Si 표면의 산화 효과가 있습니다.
  • 암모니아수에서 OH-(수산기) 금속복합체를 형성하여 Au, Ag, Cr, Ni 등의 금속을 제거하고 Si 표면을 약간 etching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웨이퍼 표면 거칠기(micro roughness)가 증가하는 문제를 일으킵니다.

SCA 1 이후 DI water rinse 처리


RCA SC2(RCA standard cleaning 2) : 중금속 오염물을 제거하는 단계.

RCA SC2 조성

용액 조성:

  • HCl(염산, 37 wt%) : H₂O₂(과산화수소, 30 wt%) : DI water = 1 : 1 : 6 (부피비)
  • 온도는 SC1과 동일하게 70℃ 정도, 약 5분간 끓임 처리 후 DI water로 충분히 헹굼

유의사항

  • Al(OH)3, Fe(OH)3, Mg(OH)3 등의 중금속 수산화물 제거가 가능합니다.

SCA 2 이후 DI water rinse 처리


순수한 물(DI water)의 비저항은 약 18.2 MΩ*㎝ 정도되며 물이 오염될 시 비저항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초순수수 제조장치에는 저항을 측정하는 장치가 있기 때문에 물의 오염도를 측정합니다.

 

9.3.1 습식 화학 세정시 고려사항


1. 대부분 가열된 상태에서 세정을 합니다.

2. 친수성(hydrophilic) vs 소수성(hydrophobic)

  • SiO₂(실리콘 산화막): 물과 잘 결합하는 친수성 특성을 지니며, 표면장력이 높음.
  • Si(실리콘 본체): 물에 잘 젖지 않는 소수성 특성을 지니며, 표면장력이 낮음.
  • 세정액이 웨이퍼 표면을 얼마나 잘 적시는지(웻팅)가 세정 효율에 영향을 줌.

3. Teflon Carrier 세척

  • 웨이퍼를 담거나 운반하는 Teflon 재질의 캐리어도 오염원이 될 수 있음.

4. 웨이퍼 건조 방법

  • N₂ Blowing: 고순도 질소(N₂)를 불어 물방울을 제거.
  • Spin Drying(원심분리 건조) : 저렴하나 입자 오염 가능성이 있고 진동에 의한 웨이퍼 파손 우려 존재.
  • IPA 증기건조(IPA Vapor Drying): 200~300℃로 가열IPA(이소프로필 알코올) 증기를 이용해 물과 치환(Displacement) 후 수분 제거로 워터마크 발생이 적고 균일하게 건조 가능.

 

9.4 건식 세정 (Dry Cleaning)


Physical Dry Cleaning

  • Sputtering 등 물리적 방법을 이용해 표면 오염층을 직접 제거.

Chemical Dry Cleaning

  • 휘발성 화학물질의 화학 반응을 통해 오염물을 기상(氣相)에서 제거.
  • ex) 플라즈마를 이용한 산화·환원 반응

Lift-Off

  • 특정 레이어(감광액, 마스크 등)를 용해해 떼어내면서 함께 오염을 제거.
  • 주로 박막 패턴 공정에서 사용되는 기법.

 

9.4 Vapor Phase Cleaning


  • HF + H₂O 증기를 이용하여 SiO₂(실리콘 산화막)를 기상(氣相) 상태에서 식각·제거가 가능합니다.
  • 습식 HF 디핑 대신, 웨이퍼를 HF/H₂O 증기에 노출해 산화막을 제거하므로 웨이퍼 표면에 물 자국(water mark)이 남을 확률이 낮고, 균일한 식각이 가능합니다.

 

결론


반도체 공정에서 웨이퍼 표면의 오염 제거는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유기물 세정을 통해 큰 오염물을 제거한 후, RCA SC1SC2 공정을 거치면 대부분의 유기물, 금속 이온, 입자 오염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이후 공정(박막 증착, 식각, 확산 등)에서 고품질 소자를 얻는 데 기여하게 됩니다.

 

공부 당시 필자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반도체공정개론
이 책에서는 미소전자소자 제조의 기초가 되는 개개의 단위 공정을 초반에 소개한 후 후반부에 이 단위 공정들로부터 이루어진 실제적인 MOS,MEMS 등의 소자와 집적 기술을 다루었다.또한 공정마다 이론적인 내용과 함께 공정에 사용되는 실제적인 응용을 깊이있게 다루었으며, 각 장의 끝에는 읽는 사람들이 해당 내용을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돕는 문제를 수록하였다.
저자
Jaeger
출판
교보문고
출판일
2005.02.01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