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은 감각이다, 밀론 블로그
[반도체공정 feat.jaeger] 확산(Diffusion) Chapter 4.10 - 실리콘에서의 불순물 재료 본문
[반도체공정 feat.jaeger] 확산(Diffusion) Chapter 4.10 - 실리콘에서의 불순물 재료
milron 2024. 7. 25. 14:26반도체 8대 공정 순서
1. 실리콘 웨이퍼 제조 공정
2. 산화공정(Oxidation)
3. 포토공정(Photo)
4. 식각공정(Etching)
5. 증착공정(Deposition)
- 확산(Deposition)
- 이온주입(Ion implantation)
6. 금속배선공정(Metalliztion)
7. EDS 공정(Electrical Die Sorting)
8. 패키지공정(Package)
지금까지 확산이론과 종류, 확산의 정도와 깊이에 대해 다뤘습니다.
이제는 실리콘 기판에 사용되는 불순물 재료들을 이야기하겠습니다.
이 불순물 재료는 고체, 액체, 기체 등으로 분류가 가능합니다.
추가적으로 아래 13~15족 원소들이 반도체에서 자주 이용되는 원소들입니다.
옥텟 규칙(Octet Rule)에 의하면 가장 안정화된 원자의 최외각 전자의 수는 8개입니다.
실리콘은 14족, 즉 4개입니다.
따라서 Si surface에 n-type 도핑을 원한다면 15족, p-type의 도핑을 원한다면 13족을 이용해야 합니다.
4.10 Diffusion system(확산 시스템)
● 고체 불순물 재료
→ B2O3, P2O5, Sb2O3와 같은 불순물 재료를 이용합니다.
운반 가스(N2, O2)가 각 튜브로 source boat로 흐릅니다.
운반되는 gas가 source boat 위로 제어된 속도로 흐르게 되고,
carriar가 이 소스로부터의 증기를 흡수하여 이 dopant를 웨이퍼 표면에 증착하게 합니다.
(1) 4.10.1 Boron diffusion(보론(B) 확산)
위 화학식에 의하면 실리콘 기판 표면에는 B(boron)가 많이 함유된 SiO2가 형성됩니다.
이를 borosilicate glass (BSG)라고 부릅니다.
보론은 13족 원소이므로 p-type dopant입니다.
붕소는 실리콘에 대한 용해도가 높습니다.
또한 오른쪽 그림 4.6을 참고하면 보면 붕소는 최대 4*10^20 /㎤의 고용도 달성이 가능합니다.
붕소는 실리콘 녹는점 넘어 초과해도 비활성 상태입니다.
그러나 과도한 삼산화붕소는 대부분의 산으로도 제거가 매우 어려운 붕소 껍질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10%의 산소를 포함한 대기에서 산화를 시키면 붕소 껍질 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붕소의 선확산 후 형성된 붕소 껍질 제거를 돕기 위한 짧은 습식 산화단계가 추가적으로 이어집니다.
(2) 4.10.2 Phosphorus Diffusion(포스포러스(P) 확산)
실리콘 기판에 P(phosphorus)가 많이 함유된 SiO2가 형성됩니다.
이를 phosphosilicateglass (PSG)라고 부릅니다.
포스포러스는 15족 원소이므로 n-type dopant입니다.
인은 붕소보다 실리콘에 대한 융해도가 더 높습니다.
고온 확산 중에 10^21 /㎤ 범위의 고용도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표면의 BSG, PSG로부터 B와 P가 Si 내 부로 확산됩니다.
PSG와 BSG는 P와 B의 함유량에 따라 유화온도 (softening temperature)가 낮아지게 됩니다.
PSG와 BSG는 높지 않은 온도에서 유연한 성질을 갖기 때문에, 확산원 이외에도 평탄화작업, passivation 공정 등 여러 가지 공정에 이용됩니다.
● 액체 불순물 재료
→ POCl3, BBr3와 같은 불순물 재료를 이용합니다.
액체 불순물 재료 시스템 또한 bubbler 방식과, spin-on 방식으로 나뉩니다.
- bubbler 방식은 bubbler에 POCl3(p형), BBr3(n형)의 용액을 담고 carrier gas을 흘려 증기가 같이 반응관으로 이송되게 하여 반응을 일으킵니다.
- spin-on 방식은 spin coater를 이용하여 불순물 물질 용액막을 형성한 후 200 ℃ 에서 soft bake을 하여 유기 용제를 휘발시켜 단단한 막을 표면에 형성하고 열처리에 의하여 확산을 시킵니다.
soft bake : 낮은 온도에서 20~30분 정도 오븐에 굽는 공정
*위 포클 3(POCl3)은 독의 왕이라고 불리는 분자입니다. 극극소량만으로도 사람을 바로 사망에 이르게 만듭니다.
위 두 반응으로 인해
가 형성되고 기판 표면의 Si와 반응하여 BSG, PSG가 형성되면서 확산하게 됩니다.
● 기체 불순물 재료
→ PH3(phosphine), B2 H6(diborane)와 같은 불순물 재료를 이용합니다.
산소를 이송기체로 하여 PH3, B2H6 기체를 반응관으로 이동시킵니다.
위 두 반응으로 인해
가 형성되고 기판 표면의 Si와 반응하여 BSG, PSG가 형성되면서 확산하게 됩니다.
여전히 책의 많은 내용이 생략된 상태입니다. 최대한 간단한 부분만 다뤄봤습니다.
자세한 것은 아래 책을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다음 포스팅은 4.4 확산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Chapter 4의 마지막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저자
- jaeger
- 출판
- 피어슨 에듀케이션
- 출판일
- 2013.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