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은 감각이다, 밀론 블로그
[반도체공정 feat.jaeger] 확산(Diffusion) Chapter 4.2.1~4.2.3 - 원료의 확산(constant source diffusion) 본문
[반도체공정 feat.jaeger] 확산(Diffusion) Chapter 4.2.1~4.2.3 - 원료의 확산(constant source diffusion)
milron 2024. 7. 24. 21:09반도체 8대 공정 순서
1. 실리콘 웨이퍼 제조 공정
2. 산화공정(Oxidation)
3. 포토공정(Photo)
4. 식각공정(Etching)
5. 증착공정(Deposition)
- 확산(Deposition)
- 이온주입(Ion implantation)
6. 금속배선공정(Metalliztion)
7. EDS 공정(Electrical Die Sorting)
8. 패키지공정(Package)
기판도 불순물을 받아들이는 정도가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solid solubility(고용도)라고 부릅니다.
책에서는 고용도를 N₀라고 정의합니다.
기판에 도핑을 하려고 할 때 2가지 상황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1. 불순물이 계속 투입이 될 때.
2. 불순물의 투입이 도중 중단될 때.
즉 확산법도 달라지게 됩니다.
반도체 공정은 아주 세밀화되어 있어 변수요소 하나하나가 아주 중요합니다.
4.2.1. 일정원료 확산 (constant source diffusion)
일정원료 이상 과다하게 불순물을 계속해서 공급할 때 고용도가 제한됩니다.
y축 : 불순물 농도.
x축 : 기판으로 부터 떨어진 거리.
t=0일 때 불순물은 아직 주입조차 안되었습니다. 따라서
N(x,0) = 0
t>0일 때 불순물 주입이 시작되므로,
N(0, t) = N₀
위의 경계조건을 바탕으로 Fick의 제2법칙을 풀면 다음과 같은 식이 도출됩니다.
erfc : complementary error function
D : diifusion coefficient(확산계수)
왼쪽은 erfc(complementary error function)의 함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오른쪽은 온도에 따른 여러가지 도핑 불순물이 가진 고용도 그래프입니다.
여기서 잠깐, erfc 함수 그래프 x축에서 하나 주의할 게 있습니다.
: diffusion length(평균확산거리)
평균확산거리는 반도체를 설계할 때 중요한 변수입니다.
4.2.2. 제한 원료 확산 (limited source diffusion)
불순물 원료의 공급이 중단될 때, 즉 기판에 불순물이 어느정도 남아 있으나 더 이상의 추가적인 공급이 차단될 때 확산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확산법의 불순물 분포도는 Gauss분포를 띄게 됩니다.
반도체 공정에서는 공정상 편리성 때문에 선확산 후 후확산을 진행합니다.
첫 번째 확산인 선확산(pre diffusion) 때는 짧은 시간 일정 원료 확산을 하고,
두 번째 확산인 후확산(drive-in diffusion) 때는 긴 시간동안 제한 원료 확산을,
이렇게 이단 공정을 진행합니다.
그렇다면 이제 선확산 부터 진행하겠습니다.
먼저 선확산 때 투입될 총 불순물의 양을 Q라고 정의합니다.
Q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단위 면적당 총 불순물 양 Q를 Dose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선확산과 후확산을 나눠 Fick 제2법칙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도출됩니다.
t₁ D₁ (선확산시간, 선확산계수)
t₂, D₂ (후확산시간, 후확산계수)
여기에 위의 Q 식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리됩니다.
다시 살펴보면, 위 식은 확산 후 불순물 도핑농도 함수입니다.
식 가운데의 루트부분은 선확산과 후확산의 평균 거리 비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분모가 분자보다 작다면 N(x, t)은 우상향 함수가 됩니다.
기판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도핑 농도가 늘어난다? 말도 안 됩니다.
+필자의 주관으로는 아마 선확산 때 짧은 시간인 이유가 이 내용과 관련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즉
의 조건에서 유효한 식입니다.
즉 이 식은 평균 선확산 거리보다 평균 후확산 거리가 훨씬 클 때 유효하다는 결론입니다.
그림 4.3을 보면 선확산이 농도는 높으나 깊이는 짧습니다.
후확산은 농도가 낮으나 깊이가 깁니다.
따라서 같은 양의 도핑을 했을 때 분포는 다르나 면적은 같습니다.
4.2.3. 접합깊이 (junction depth)
일 때 xⱼ 를 junction depth라고 합니다.
여기서 N_B는 반도체 기판의 불순물 농도입니다.
예를 들어 불순물농도가 10^17cm^-3인 p 형 기판에서 n 형 불순물을 확산하였을 때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xⱼ 보다 작은 지역은 n형이고 xⱼ 보다 큰 지역은 p형 지역이 되어 p/n 접합 구조가 완성됩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이해가 좀 더 쉬울 것 같습니다.
junction depth는 또 역시 2가지로 구분해 계산해야 합니다.
1. 선확산 접합 깊이(junction depth)
에서, 그리고
일정원료 확산 식에 xⱼ 를 대입해 다시 보겠습니다.
에서 xⱼ에 대한 식으로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 후확산 접합 깊이(junction depth)
에서, 그리고
제한 원료 확산 식에 xⱼ 를 대입해 다시 보겠습니다.
에서 xⱼ에 대한 식으로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4.2 예제
보론(B)을 2시간 동안 1100℃ 선확산과 5시간 동안 1150 ℃ 후확산 후의 평균확산거리 총합을 구하시오.
solution: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저자
- jaeger
- 출판
- 피어슨 에듀케이션
- 출판일
- 2013.08.30
'반도체 > 확산(diffus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공정 feat.jaeger] 확산(Diffusion) Chapter 4 - 확산 시스템 (1) | 2024.07.26 |
---|---|
[반도체공정 feat.jaeger] 확산(Diffusion) Chapter 4.10 - 실리콘에서의 불순물 재료 (1) | 2024.07.25 |
[반도체공정 feat.jaeger] 확산(Diffusion) Chapter 4~4.2 - 확산이란? (0) | 2024.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