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은 감각이다, 밀론 블로그
[반도체공정 feat.jaeger] 식각(Etch) Chapter 2.3.2 - 반응 건식 식각 본문
[반도체공정 feat.jaeger] 식각(Etch) Chapter 2.3.2 - 반응 건식 식각
milron 2024. 8. 1. 17:40반도체 8대 공정 순서
1. 실리콘 웨이퍼 제조 공정
2. 산화공정(Oxidation)
3. 포토공정(Photo)
4. 식각공정(Etching)
5. 증착공정(Deposition)
- 확산(Deposition)
- 이온주입(Ion implantation)
6. 금속배선공정(Metalliztion)
7. EDS 공정(Electrical Die Sorting)
8. 패키지공정(Package)
반응 건식 식각(Reactive dry etching)도 다양한 분류로 나뉩니다.
화학적 반응 건식 식각 (Chemical Dry Etching)
- (a) 이온 조사 반응 건식 식각 (Reactive dry etching with ion irradiation)
- (b) 전자 조사 반응 건식 식각 (Electron irradiation reaction dry etching)
- (c) 광자 조사 반응 건식 식각 (Photon irradiation reaction dry etching)
하나하나씩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2.3.2. 반응 건식 식각 (Reactive dry etching)
▶ 반응 건식 식각은 반응기체가 식각 목표물(기판)과 화학 작용(반응) 후 식각되는 것을 말합니다.
반응기체의 활도성을 높여 식각이 잘될 겁니다.
따라서 플라스마, 전자(전자빔) & 광자(laser)를 이용해 반응 기체의 활동성을 높입니다.
- 동종반응(homogeneous reaction) ▶ 같은 상태의 물질(액체-액체, 기체-기체)의 반응
- 이종반응(heterogeneous reaction) ▶ 다른 상태의 물질(고체-액체, 기체-고체)의 반응
기채 내에서의 동종반응들

▶ 여기(excitation)되는 과정입니다.
(*) 표시는 여기 된 상태를 의미하며 바닥상태로 떨어지면서 발광현상을 일으킵니다.

▶ impact ionization에 의하여 이온이 생성되는 과정입니다.

▶ 해리(dissociation) 과정에 의하여 radical이 생성되는 과정입니다.
radical : 전기적으로는 중성이지만 불안정하여 화학적 결합을 활발하게 하는 것.
기판이 매개(촉매역할)가 되는 이종반응들

▶ 원자의 재결합 과정입니다.

▶ 식각 과정입니다.

▶ 스퍼터링의 과정입니다.
S : 기판(substrate)
2.3.2.1. 화학적 반응 건식 식각 (Chemical Dry Etching)
전기적으로 중성이지만 불안정하여 화학적 결합을 활발하게 돕게 하는 것인 radical의 예로는 O(산소)가 있습니다.
이 산소는 O-O, 즉 O2로 2개의 산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을 때 안정화됩니다.
그러나 O 원자 홀로는 전기적으로 중성이지만 O2, 혹은 다른 결합으로 안정화되려고 합니다.
이 radical의 반응성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CF₄(테트라플루오린화 탄소) 플라스마는 Si, SiO2₂ 식각에 자주, 널리 사용되는 플라스마입니다.
이 말은 반대로 유리도 분해해 버려 매우 위험합니다.

CF₄ ↔ F, CF, CF₂, CF₃ 등 다양한 화학종으로 평형을 이루게 됩니다.
여기서 F는 radical입니다.
이 F는 다음같이 Si, SiO₂ 식각반응을 일으키게 됩니다.

그런데 F를 이대로 두면 CF₄로 되돌아가는 재결합을 하게 됩니다.
즉 식각률을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O₂를 첨가하여 F와 결합하여 COF₂, CO, CO₂를 생성하게 하고 CF₄의 재결합을 방해하게 만듭니다.
그러면 radical F의 농도가 증가하여 식각률은 증가하게 됩니다.
[반도체공정 feat.jaeger] 식각(Etch) Chapter 2.2 - Wet Etch(습식 식각)이란?
반도체 8대 공정 순서1. 실리콘 웨이퍼 제조 공정2. 산화공정(Oxidation)3. 포토공정(Photo)4. 식각공정(Etching)5. 증착공정(Deposition) - 확산(Deposition) - 이온주입(Ion implantation) 6. 금속배선공정
milronmusk.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이야기한 SiO₂ 에칭제인 HF(불산)를 기억하시나요?
H₂를 첨가하게 되면 HF가 생성되어 F radical 농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식각률을 감소하게 되는 원인이 됩니다.
+*passivation을 할 때 H₂가 좋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passivation 공정 후 H₂가 조금 잔존해 있다면,
etching을 할 때 CF₄ 플라스마의 F와 결할 해 식각률 감소의 원인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최종 공정에서 수율 문제가 있다면 원인 중 하나가 될 수도 있겠네요!
(a) 이온 조사 반응 건식 식각 (Reactive dry etching with ion irradiation)
식각용 기체 플라스마에 Ar 이온을 첨가하면 Ar의 표면을 공격해 표면이 활성화되고 식각이 증대됩니다.

왼쪽 구간에서부터 화학적 식각, 화학+물리 혼합 식각, 물리적 식각입니다.

- 저압에서의 평균자유행로 > ion sheath 두께
▶ Ar이온이 충돌 없이 표면에 도달하게 됩니다. = 그림(a), 비등방성 에칭(anisotropic etching)
아주 잘 식각 된 겁니다.
- 고압에서 평균자유행로 < ion sheath 두께
▶ Ar이온의 충돌 방향이 무작위가 되어 측벽도 공격합니다. = 그림(b), 등방성 에칭(isotropic etching)
이렇게 되면 망하는 겁니다.
(b) 전자 조사 반응 건식 식각 (Electron irradiation reaction dry etching)
전자빔 조사로 식각률을 증대시킵니다.
selective etching(선택에칭) 혹은 patterning etching이 가능합니다.
(c) 광자 조사 반응 건식 식각 (Photon irradiation reaction dry etching)
표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식각률을 증대시켜 patterning etching을 합니다.
다음은 반응 건식 식각 장치에 대해 이야기하고 Chapter 2 식각 파트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저자
- jaeger
- 출판
- 피어슨 에듀케이션
- 출판일
- 2013.08.30
'반도체 > [공정 4] 식각 공정(etching proc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공정 feat.jaeger] 식각(Etch) Chapter 2.3.3 - 반응 건식 식각 장치 (0) | 2024.08.02 |
---|---|
[반도체공정 feat.jaeger] 식각(Etch) Chapter 2.3.1- Ion Etch(이온 식각)이란? (1) | 2024.07.31 |
[반도체공정 feat.jaeger] 식각(Etch) Chapter 2.3 - dry Etch(건식 식각)이란? (0) | 2024.07.30 |
[반도체공정 feat.jaeger] 식각(Etch) Chapter 2.1 - 식각의 방향은? (0) | 2024.07.29 |
[반도체공정 feat.jaeger] 식각(Etch) Chapter 2.2 - Wet Etch(습식 식각)이란? (1) | 2024.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