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은 감각이다, 밀론 블로그
2025-05-12 거의 한 달만의 진척도 본문
- 진행 단계: 5~6주 차
1-2주 | 데이터 수집, 예측 모델 설계 | ▲ | 데이터 수집 완료 |
3-4주 | MCP 서버 구현 + 테스트 | ● | MCP 서버 구현 완료 |
5-6주 | Flutter 앱 UI 개발 + 연동 | ▲ | 홈 화면, 기타 UI 코드 작성 완료 |
7주 | 기능 통합 + QA | X | |
8주 | 베타 출시 + 사용자 피드백 수집 | X |
✅ 오늘의 작업 정리 & 해낸 일
- MCP 서버 구동
- Flutter 모바일 앱 UI 토대 구축
🤯 어려웠던 점 & 해결 과정
- 🔸 문제: api 키 사용 혼동
- 🔹 원인: 디버깅 코드를 추가하여 문제 원인 찾기
- ✅ 해결: 인코딩 말고 디코딩된 api 키 사용
💬 오늘의 느낀 점
“한 걸음 진보”
한 달 만에 다시 일지를 쓰고 있다.
현재 버스 앱 프로젝트 진척도는 다음과 같다.
- MCP 서버 구동
- 앱 UI 뼈대 구성
1번째, MCP 서버 구동 후기
👉 [서울시 열린 데이터광장 API 발급 페이지](https://www.data.go.kr/tcs/dss/selectApiDataDetailView.do?publicDataPk=15000332) 여기서 통계 API를 가져왔다.
1번의 경우 꽤나 만들기 힘들었다.
- API 키의 인코딩과 디코딩 차이의 중요성
디코딩된 API 키를 사용해야 하는 데 인코딩 된 API를 자꾸 사용해서 클로드가 API키를 인식하지 못했던 해프닝이 발생했었다.
코드를 자꾸 분석하며 뭐가 문제인지 온종일 찾아다녔는데 디코딩 인코딩 차이 때문이었다.
인코딩 형식은 사이트에서 example 형식으로 입 출력 결과를 확인 가능한 말 그대로 '형식'이었고 디코딩은 프로그래밍하면서 이 API 키 데이터를 작성하는데 코드에 따라 어떤 문자 값이 변환된다. 그래서 입력과 출력 값의 API 키 값이 서로 달라지는 결과가 발생했다. 즉, 코딩 전용 키였다.
이전 4월 즈음 MCP 서버를 만들어 놓고 클로드에서 테스트했을 때 서버를 인식은 했으나 작동은 하지 않았던 이유가 여기 있었다. 그땐 그냥 빨리빨리 마인드라 그냥 넘어갔었다.
그렇게 서버를 정상적으로 구축했고 테스트도 통과했다. 하지만 아직 완전히 기초적인 수준이다.
버스 정류장 이름을 띄어쓰거나 철자를 틀리면 출력이 안 나오며, 현재 활용 데이터 입출력이 극히 제한적인 수준이다.
버스 정류장 이름(입력) -> 정류장 번호, 위치 등의 정보 요청(출력)
현재 MCP 서버 성능은 이 정도가 끝이다.
버스 내부 혼잡도를 회귀분석 등의 분석 방법으로 그래픽 이미지를 도출까지 하기엔 아직 먼 길이다.
당연히 천천히 해야 탈이 안 난다.
서서히 기능을 하나씩 추가하면 그만이다.
2번째, 플러터 프로젝트
솔직히 MCP 서버 구축이나 플러터 앱 개발은 GPT를 사용함으로써 대부분의 일을 덜었다.
플러터 문법이나 관련 궁금증은 책이나 유튜브를 참고하고 자세한 정보나 코드 짜는 일은 GPT가 맡았다.
애초에 앱 UI 구성은 누워서 떡 먹기 수준으로 쉬웠다. 이미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물을 pull 하면 되었으니 말이다. 참 기술 좋다.
그래도 코드를 좀 유동성 있게 서로 연결하는 과정은 좀 힘들었지만 말이다.
사진의 UI는 비슷하지는 않지만 카카오맵을 참고했다.
최종 후기
나는 코드 분석하고 퍼즐 맞추듯이 진행하였다.
진짜 중요한 깨달음이 하나 있다.
GPT를 꼼수라고 생각한 적이 있는데 이제는 아니라고 본다. 프로젝트 진행하려면 GPT 응용 능력만 있으면 안 된다. 메타인지가 되어야 한다. 나는 꽤 괜찮은 편이라고 본다.
📌 앞으로 할 일
(MCP 서버 + 클로드 + 플러터)를 서로 통합시켜야 한다.
그 방법은 다음 깃허브에서 참고할 예정이다.
https://github.com/MCP-Dev-Studio/mcp_llm_server?tab=readme-ov-file
🔗 참고한 자료
에러 | 공공데이터포털
죄송합니다. 요청하신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페이지의 주소가 잘못 입력되었거나, 변경 혹은 삭제되어 요청하신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데이터포털
www.data.go.kr
GitHub - MCP-Dev-Studio/mcp_llm_server
Contribute to MCP-Dev-Studio/mcp_llm_serv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이 글은 개인 프로젝트 개발 과정을 기록하는 공간입니다.
실패와 깨달음, 시도와 개선을 솔직히 담습니다.
다음 일지도 기대해 주세요! 🚀
'프로그래밍 > 버스 혼잡도 파악 앱 개발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7-05 찐 완성 까지 앞으로 1보? (3) | 2025.07.12 |
---|---|
2025-06-13) MVP 완성까지 앞으로 한 발자국 (7) | 2025.06.13 |
2025-04-13 - 5일 차 진척도 (0) | 2025.05.17 |
2025-04-09 - 1일 차 진척도 (0) | 2025.05.16 |
2025-04-08 - 어려운 프로젝트의 시작 (0) | 2025.05.13 |